본문 바로가기

IT시장조사

STB(셋톱박스) & PVR(개인용 비디오 녹화기) 시장

[출처 : 토필드 사업개요 中 에서]

(가) 디지털 셋톱박스

디지털 셋톱박스는 위성, 케이블, 지상파, IP 등의 디지털 전송매체를 단일 또는 복수(Hybrid)의 디지털 형태로 송출되는 방송을 수신하여 TV 혹은 기타 디스플레이어로 영상, 음성 및 기타방송 구현에 필요한 데이터의 신호를 처리해주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로 시장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

1) 전송매체에 따른 구분

디지털 셋톱박스는 전송매체에 따라 케이블 TV 방송용, 위성 방송용, 디지털 지상파 방송용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은 거의 같지만, 케이블 TV 방송용은 시청자의 셋톱박스까지 케이블 연결이 필요하고, 위성방송용이나 디지털 지상파 방송용은 안테나를 필요로 합니다. 또, 케이블 TV 방송용은 쌍방향 서비스가 용이하게 지원 가능하지만, 위성방송용이나 디지털 지상파 방송용은 현 상태로서는 쌍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화 회선 등의 유선 회선이 따로 필요합니다

2) 사업자의 성격에 따른 구분
구 분 단순형수신기
(FTA)
범용요금지불체계형
수신기
(CI)
유료방송전용수신기
(CAS)
차세대수신기
(PVR, IP STB등)
위성방송 무료방송 채널 전용 수신기 시청자가 시청을 원하는 유료방송을 CAM(수신제한장치 모듈)과 스마트카드를 구입하여 슬롯에 장착하고 시청할 수 있는 수신기 특정 방송사업자가 자신의 영업전략에 따라 선택한 수신제한시스템에 따라 해당 스마트카드를 구입/장착하여 시청할 수 있는 수신기 통신, 방송 융합추세에 따라 방송수신 이외에 녹화, 인터넷 등 다양한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한 수신기
가 격
마 진


3) 시장의 형태에 따른 구분

구 분 내용
일반소비자 시장
(Open Market)
ㆍ일반 전자제품과 같이 제조업체가 일반시장에 공급하고 소비자는 원하 는 제품을 선택하여 다양한 형태의 무료 또는 유료방송을 시청할 수 있 도록 하는 셋톱박스 시장으로 전체시장의 20%를 차지
ㆍ방송사업자 시장에 비하여 시장규모도 작고, 특히 제품마다 다양하고 특성화된 기술을 적용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제품의 수명 주기가 짧기 때문에 다품종 소량생산에 적합하여 대규모 대형 제조사가 진입 하기 어려운 시장
ㆍ방송사업자 시장에 비하여 이익율이 높은 편임
방송사업자 시장
(Closed Market)
ㆍ방송사업자가 미리 복수의 수신기 업체를 선정하고 그 업체들로부터 공
급받는 형태로, 특정 가입자를 대상으로 전용 유료방송을 시청할 수 있
도록 하는 셋톱박스 시장으로 전체시장의 80%를 차지
ㆍ자본력과 대규모가입자를 확보하고 있는 대형 방송사업자 중심
ㆍThomson, Motorola, Sony, Echostar, Philips, Nokia 등 세계 유수의
가전업체가 시장 지배
ㆍ대량생산에 따른 원가절감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대규모 수요 거래처에
게 입찰 등을 통해 납품하기 때문에 아주 낮은 판매가로 판매되어 매출 이익율은 극히 낮은 편임
Semi-closed 시장 ㆍ방송사업자가 우수한 제품들을 테스트하여 판매승인을 하고 가입자들
이 일반소비자 시장에서 직접 구매
ㆍ초기 자본력이 강하지 못한 방송사업자 중심
ㆍ최근들어 방송사업자의 재정 부담을 완화할 수 있도록 증가 추세임


디지털 셋톱박스 산업은 방송산업의 발전단계와 규모에 의해서 시장이 형성되고 성장성이 예측될 수 있습니다. 방송의 전 영역이 디지털방송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모든 디지털방송 수신을 위한 필수장비인 디지털 셋톱박스의 성장은 필수적입니다. 또한, 디지털 셋톱박스는 방송수신만을 위한 장비가 아니라 양방향 전송, 녹화 및 저장, 전자상거래, 홈뱅킹 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또한 디지털 방송 인프라의 구축이라는 일종의 기간 산업의 성격을 띠고 있어 경기변동에 영향없이 컨텐츠 소유자, 서비스 제공업자, 장비 제조업자, 그리고 가전용 반도체 업자 모두에게 커다란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산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한편, 현재까지는 위성방송의 광역성 및 수신제한장치(CAS; Conditional Access System)으로 위성방송사업자의 과금이 용이하고 수익구조가 보장되는 특징 때문에 디지털 위성 셋톱박스가 디지털 셋톱박스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디지털 TV의 급속한 증가와 디지털 컨텐츠, 부가서비스의 다양화, 소비자 요구의 세분화 등이 디지털 케이블 셋톱박스 성장을 견인할 것입니다. 또한, IPTV도 일부 선진국과 국내를 중심으로 수요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 디지털 TV 보급율 및 전환율 】
(단위 : 천대)
구분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
리아
미국 캐나다 일본 폴란드 스페인 네덜
란드
스웨덴 아일
랜드
보급율 76% 53% 24% 46% 61% 43% 60% 16% 44% 22% 45% 51%
전환율 8% 23% 4% 10% 7% 5% 15% - - - - -
※ 자료출처 : Ofcom (2007)


(나) 개인용 비디오 녹화기 (PVR ; Personal Video Recorder)

1) PVR의 개요

PVR은 마그네틱 테이프에 영상신호를 담아 두는 VCR과 달리 셋톱박스에 탑재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에 기억시키는 신개념의 디지털레코더입니다. HDD 용량에 따라 일정시간(HDD용량에 따라 10시간~수십시간) 분량의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가 가능합니다. PVR은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PC와 같은 파일재생 방식으로 재생합니다. 재생을 위한 중앙처리장치(CPU)와 함께 운영체제(OS)와 재생 소프트웨어 등을 담은 메모리 칩(ROM), 대용량 하드디스크 드라이브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2) PVR의 기능 및 장점

PVR은 기본적인 기능에서는 방송국에서 내보내는 프로그램을 저장했다가 본다는 점에서는 기존의 VCR과는 큰 차이가 없습니다. 그러나 PVR은 테이프를 쓰지 않고 하드디스크드라이브를 사용하기 때문에 화질의 열화가 없으며, 테이프 관리가 필요 없고 원하는 부분을 찾거나 편집하는 게 훨씬 간편합니다. PVR은 최신 방송스케줄을 수시로 전송받아 예약 녹화에 활용할 수 있으며, 예약 녹화 절차는 화면상에서 방송 목록을 선택하는 것이 전부일 만큼 간단합니다. 여러 개의 프로그램을 동시에 녹화할 수 있고, 녹화와 재생이 동시에 가능하여 생방송을 보다가 순간적으로 정지시키거나 수초~수분 전 장면부터 반복재생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재생기능을 기본으로 지원하며, 방송 서비스업체와 연계해 대화형(Interactive) 방송청취가 가능합니다. PVR은 TV에서 광고가 등장하는 순간 시청자가 버튼 하나만 누르면 뮤직 비디오나 야구경기 하이라이트 등 하드디스크에 미리 입력된 프로가 광고 대신 나오게 할 수도 있습니다. 또 일부 게임기의 기능도 수행가능하며, 디지털 카메라의 사진, MP3 음악파일, 캠코더나 DVD 등의 디지털영상을 녹화하고 PC와 연결해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3) PVR의 종류와 현황

PVR은 크게 순수한 의미의 개인저장장치 기능을 하는 단독형 PVR과 차세대 셋톱박스로 한단계 발전하여 PVR내에 셋톱박스 기능을 내장한 PVR로 구분됩니다.

단독형 PVR부분의 대표적인 업체는 TiVO, 리얼플레이TV, 소니, 필립스 등입니다.셋톱박스를 내장한 PVR은 위성방송용 셋톱박스 기능을 내장한 PVR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지상파 및 케이블 방송용 셋톱박스에 내장된 PVR도 지상파 및 케이블 방송의 디지털화 진전에 따라 수요가 증가추세입니다. 셋톱박스 기능을 내장한 PVR은 토필드, 휴맥스, Panasonic, Echostar, Pace 등이 제조ㆍ판매하고 있습니다. 셋톱박스와 연계된 PVR은 기술적인 측면에서 초기 제품으로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만 녹화가 가능한 제품이 있습니다. 한단계 발전한 제품으로는 현재 시청하고 있는 방송뿐 아니라 동시간대에 방송되고 있는 타방송까지 녹화 가능한 PVR로 토필드에서 세계 최초로 출시하였으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실질적으로 필요한 기능을 갖춘 제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현재는 두 개 이상의 방송을 동시시청ㆍ녹화기능 외에 PIP(Picture in Picture), MP3 Play, 사진재생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갖춘 PVR이 주력제품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1) 셋톱박스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세계 디지털 셋톱박스 시장은 유럽을 중심으로 점차 규모가 커지고 있는데 이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디지털방송 서비스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서비스는 점차 미국, 아시아 등지로 확대되고 있어 디지털셋톱박스 생산은 2011년 2억대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전세계 디지털 셋톱박스 판매량 동향 및 전망 】
(단위 : 천대)
구 분 2007 2008 2009 2010 2011 CAGR(04-11)
위성 STB 71,192 73,900 77,736 81,293 84,808 6.70%
Cable STB 33,752 41,837 52,028 61,570 67,840 23.40%
IP STB 4,770 6,560 7,718 8,375 8,662 28.40%
지상파STB 22,170 26,640 29,158 32,761 40,243 26.90%
합 계 131,884 148,936 166,640 183,999 201,553 14.40%
연성장률 19.00% 12.90% 11.90% 10.40% 9.50%
※ 자료출처 : IMS Research (2006)


2) PVR 세계 시장 현황 및 전망

차세대 셋톱박스의 하나로 주목 받고 있는 PVR은 매년 고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채널 수신이 활성화되어 있는 유럽의 경우 동일시간대의 타방송을 보기 위해 녹화기능이 내장된 PVR에 대한 선호도가 높습니다. IMS Research 자료에 의하면 향후 PVR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2003년 1,754천대의 판매를 기록한 이후 연평균 40% 이상의 고성장을 지속하여 2011년에는 6천만대 이상의 판매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특히 HD급 셋톱박스는 물론 HD급 PVR의 시장도 급성장하여 HD PVR의 경우 연평균 60.7%의 가파른 성장이 예상됩니다.

【 전세계 PVR 판매량 】
(단위 : 천대)
구 분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CAGR(04-11)
HD STB 4,531 4,720 5,442 6,488 7,053 7,538 13.8%
PVR 10,038 13,858 18,460 21,928 24,725 26,662 29.6%
HD PVR 5,263 8,877 14,345 19,569 26,668 33,614 60.7%
합 계 19,832 27,455 38,247 47,985 58,446 67,814 34.3%
※ 자료출처 : IMS Research (2006)


지상파 방송의 디지털화 확대는 디지털 셋톱박스 산업성장을 견인할 전망으로 디지털 셋톱박스의 신규 및 교체수요가 기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디지털화가 1차 성장이라면, 기존의 SD급 셋톱박스에서 HD급으로의 전환수요, 초고속인터넷 기반 통신에 방송이 융합되는 IPTV, 네트워크 활성화 등이 디지털 셋톱박스 산업의 2차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 중단시기 】
중단시기 국가 비고
2006년 네덜란드 - 시장 전반 HD 전환시도
2007년 스웨덴 - HD switch off 가속화
2009년 미국, 독일 - 미국 : 지상파 디지털방송 실시, 디지털 튜너 의무장착
- 독일 : DVB-C 급성장 예상
2010년 스페인 - 2010년 HD swith off 예상
2011년 캐나다, 일본, 프랑스
2012년 영국, 이탈리아, 한국 - 영국 : 지상파 PVR 전환 가속화
- 한국 : 지상파HDTV방송 실시
2014년 폴란드
2015년 중국 - 2008년 베이징올림픽 HDTV 방송


(3) 경기 변동의 특성

디지털 셋톱박스 시장도 경기변동의 영향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으나, 셋톱박스가 일상 생활에서 필수품중 하나인 TV를 보기 위한 제품인 관계로 방송의 디지털화가 진행될수록 필수품으로 인식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소비재에 비해서 경기 변동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추세가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는 것이고, 이 흐름은 피할 수 없는 대세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위성, 케이블, 지상파 각 부분에서 디지털방송이 발전할수록 디지털 방송 구현을 위한 필수장비로서의 디지털 셋톱박스에 대한 수요는 커질 것이며, 지금까지의 TV의 역사와 마찬가지로 시장의 영속성 및 성장 가능성 또한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계절적으로는 일반 가전제품과 유사하게 소비자 자금유동성이 가장 풍부한 연말연시에 수요증가가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4분기 매출이 타분기에 비해 다소 많고, 여름휴가철이 속하는 3분기에는 다소 저조한 매출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제품의 대부분이 수출되는 유럽과 중동시장의 경우 여름 휴가를 즐기는 인구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여름철 수요는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당사는 제품 수출에 대한 경기변동의 영향을 최소화하고자 기존 거래선과의 관계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수출지역을 다변화시키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디지털 셋톱박스 산업은 기술개발능력과 제품의 안정성이 핵심 경쟁요소입니다. 방송 수신과 디지털 처리 등의 기본기능이 메인칩에서 제공되므로 신규업체들은 상대적으로 기술력이 낮은 저가형 FTA 제품의 경우 국내업체 뿐만 아니라 중국, 대만 업체들의 저가 공세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다만 시장에서 중국, 대만산 제품의 품질 및 기술적인 차이가 인정되어 일정부분의 가격차는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방송환경에 따라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고 기능을 개선하는 능력과 CI 및 수신제한장치(CAS)는 기술장벽으로 작용합니다. 당사는 현재 CONAX, NDS, Nagravision, Cryptoworks, Viaccess, Irdeto CAS 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한편, 서비스망의 통합과 장비간 결합 추세에 따라 디지털 셋톱박스의 기본 기능인 디지털 방송의 수신을 안정적으로 제공하면서 통신과 방송의 융합 및 멀티미디어 기능의 복합기기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도 새로운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디지털 셋톱박스 산업의 주요 원재료는 Tuner, CPU, MPEG-Decoder Chip, Flash Memory, DRAM, SMPS 등이며, 이 가운데 CPU, MPEG-Decorder Chip 등 일부 품목 이외에는 각 부품별로 다수의 국내업체들이 양산체제를 구축하고 경쟁하고 있으며, 또한 해외업체들의 국내진출도 확대됨에 따라 원재료 수급상황은 크게 호전되고 있습니다. 디지털 셋톱박스 제조업체들은 자사 제품의 특성에 맞게 원재료 조달원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한편, 디지털 셋톱박스 산업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서 전자산업 내에서도 근로자의 선호도가 높은 분야로 풍부한 연구 및 생산인력의 안정적인 수급에 문제가 없습니다.


(6)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디지털 셋톱박스 산업은 정보통신부(現방송통신위원회)가 2006년 발표한 u-IT839 전략항목 중 9대 신성장동력제품으로 디지털TV/방송기기를 지정하여 전략적으로 육성 중이며, 차세대 수출유망품목으로서 연구개발 지원 및 수출지원반 운영 등을 통하여 정부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7) 시장점유율 등

국내 셋톱박스 업체들은 대부분 해외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국내 상장 셋톱박스 업체들의 최근 3년간 수출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종업계 최근 3년간 수출현황 】
<수출금액 기준>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7년 2006년 2005년 비고
토필드 182,304 101,873 64,282
휴맥스 538,310 630,395 592,570
가온미디어 104,475 68,448 85,671
한단정보통신 100,227 94,467 79,748
현대디지탈테크 96,686 83,399 84,580
홈캐스트 95,422 97,729 129,732
아리온테크놀로지 40,096 32,151 49,493
셀런 17,826 20,530 34,100


한편, 당사의 2008년 상반기 매출액의 지역별 비중을 살펴보면 유럽 73%, 아시아/호주 21%, 중동 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군으로 살펴볼 때도 표준화질의 SD제품보다는 고부가가치의 PVR과 HD(High Definition)제품 수출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상반기 전체 매출액에서 PVR 차지비중은 34%, HD제품의 차지비중은 29%입니다.

** 시장의 특성

디지털 셋톱박스와 PVR은 기본적으로 TV를 시청하기 위한 기본도구로서 성별, 연령별, 소득수준별 차이없이 전계층의 생활 필수품으로 인식되는 제품군입니다. 특히, 아날로그 방송이 종료되고 디지털 방송이 본격화됨에 따라 필수 가전기기의 하나로 자리잡아 가게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